티스토리 뷰

스탑 표기가 되어있는 표지판 사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재선을 노리며 다시 관세 카드를 꺼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단순한 무역 장벽이 아닌, 정치·지정학·산업 전략이 복합된 움직임입니다. 관세 부활의 이면을 해석하고, 한국 기업과 정부가 취해야 할 실질적인 리스크 완화 전략을 제시합니다.

트럼프의 관세, 단순한 무역이 아닌 정치적 무기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보호 차원을 넘어선 ‘정치적 무기화’가 핵심입니다. 그는 대통령 임기 내내 관세를 외교 협상 카드로 활용했고, 국가 안보를 이유로 WTO 규정을 우회하며 독자적인 관세 부과를 감행했습니다.

이번 재선 캠페인에서도 "중국 제품 전체에 60% 관세 부과", "비우호적 동맹국에도 선별적 관세 적용" 같은 강경 안이 언급되고 있습니다. 한국 역시 미군 방위비 분담 협상, 반도체 패권 경쟁 등 다양한 외교 현안에서 관세 카드로 압박당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장점: 국내 지지층 결집 효과, 자국 제조업 회복 유도
  • 단점: 동맹국과의 외교 마찰,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 심화
  • 활용 팁: 통상 외교 전문가 및 정무라인 연계 강화, 미 대선 전후 무역 공약 분석 및 내부 보고 체계 구축
  • 추천 모델: 복합 이슈 대비형 외교 통상 전략 (예: 유럽연합의 공동 통상 협상 구조)

관세 25%는 '예고된 수치'… 다음은 어디?

‘25% 관세’는 단순히 과거 회귀가 아니라, 예고된 전략의 재가동입니다. 2018~2020년 트럼프 1기 시절, 그는 중국·EU·한국·캐나다·멕시코 등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며 ‘무차별 압박’ 정책을 펼쳤습니다.

특히, 한국은 철강 25%, 알루미늄 10% 관세를 실제로 경험했으며, 자동차 관세 부과 직전까지 갔습니다. 트럼프 2기에는 단순히 제품군이 아닌, 국가별 ‘무역 흑자 상위국’을 타겟으로 할 가능성이 높고, 한국은 이에 해당합니다.

  • 장점: 대미 무역 흑자 축소 압력 완화 가능, 일부 고부가 산업 선별 보호
  • 단점: 수출 비중 높은 한국 직격탄, 신뢰 기반 국제무역 원칙 훼손
  • 활용 팁: 업종별 ‘관세 영향 시뮬레이션’ 시스템 구축, 미국 내 소비자·기업 연합체와의 간접 로비 강화
  • 추천 모델: 국가별 무역 의존도 분산형 포트폴리오 전략 (예: 일본의 내수 중심 산업 재편 모델)


관세가 경제보다 정치에서 움직이는 시대

트럼프의 관세 전략은 항상 경제 데이터보다 정치 이벤트에 더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예를 들어, 2019년에는 미중 1단계 무역합의 이전까지 15% → 25% → 30%까지 관세율이 바뀌는 등, 선거 일정·여론조사 흐름에 따라 정책이 움직이는 불안정성을 보였습니다.

2025년에도 미중 관계, NATO 갈등, 중동 문제 등 복합적인 지정학 리스크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예측 불가능성이라는 새로운 리스크로 작용합니다.

  • 장점: 트럼프 스타일에 따른 정책 예측 시나리오 존재, 일부 조기 리스크 대응 가능
  • 단점: 수시로 바뀌는 정책 방향, 정부·기업 공조 리드타임 부족
  • 활용 팁: 글로벌 정치 리스크 분석팀 또는 외부 리포트 정기 구독, 언론·SNS 중심의 트럼프 발언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 추천 모델: AI 기반 지정학 위험 알림 시스템 (예: 글로벌 금융사들이 사용하는 GeoRisk AI 플랫폼)


한국 기업과 정부의 현실적인 리스크 완화 전략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은 현실적인 리스크 완화 전략입니다. 관세가 부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이미 정치적 결정이 우선되는 구조에서는 회피보다 ‘완화와 적응’ 전략이 실효적입니다.

핵심 전략 4가지:

  1. 시장 다변화: 미국 의존도를 줄이고, 아세안·인도·유럽 등으로 시장 확대
  2. 현지 생산/조립 강화: 관세 회피형 구조 구축
  3. 원산지 인증 관리: FTA 활용 및 우회 수출 전략
  4. 무역 보험·금융 지원 활용: 정부 지원 프로그램 적극 활용
  • 장점: 정책 불확실성 하에서도 실질 대응 가능, 기업 체질 개선 계기
  • 단점: 중소기업 실행 여력 부족, 단기적 비용 증가
  • 활용 팁: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및 K-SURE 연계 적극 활용, 산업별 협단체 중심 공동 대응 제안서 마련
  • 추천 모델: 단계적 리스크 완화→구조 전환형 모델 (예: 한화 방산부문의 현지공장 확대 모델)

결론

트럼프가 또 관세를 꺼낸 이유는 ‘경제’보다 ‘정치’입니다. 한국 기업이 지금 해야 할 일은, 관세 자체를 막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현실이 되었을 때 최대한 충격을 줄이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대응 체계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정부는 외교적 협상 채널을 넓히고, 기업은 내부적으로 공급망·생산·계약구조를 유연하게 바꾸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불확실성 속에서도 예측 가능한 구조로 전환하는 것이 곧 생존 전략입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